물리학/회로 이론

[회로 이론] 키르히호프 법칙 (KVL, KCL)

Zeta Oph 2023. 10. 25. 15:40

순서가 뒤 바뀐거 같습니다.

회로 이론의 기본 중의 기본인데 무려 3번째로 올리다니....

여튼 키르히호프 법칙을 소개하고, 앞으로 회로이론 글에서는 이 법칙을 사용하여 더 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키르히호프 법칙은 회로 이론의 $F=ma$라고 할 수 있는, 정말 쉽고 직관적이지만 너무나도 중요한 법칙입니다.

크게 전류에 대해 다룬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irchhoff's Current Law, KCL)과 전압에 대해 다룬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Kirchhoff's Voltage Law, KVL)로 나뉩니다.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irchhoff's Current Law, KCL)

도선의 노드에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0이다.
$$\sum_{n}{i_n}=0$$

아래 그림과 같이 도선이 있다고 해봅시다.

점 P로 들어온 전류의 양과 나가는 전류의 양은 같겠죠. 즉, $i_1+i_2=i_3+i_4$입니다.

전류의 방향까지 고려하여 들어오는 전류를 +, 나가는 전류를 -로 쓰면 그 총합은 0이 될 것입니다. 네

KCL은 이게 전부입니다. 도선 상에서 손실되는 전류가 없다는 법칙이죠.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Kirchhoff's Voltage Las, KVL)

폐회로를 따라 더한 전압강하의 합은 0이다.
$$\sum_{n}{V_n}=0 \quad \text{(in Closed Circuit)}$$

아래 그림과 같은 도선이 있습니다.

시계 방향으로 회로를 돌 때, 전원을 지나면서는 전위가 높아지고, 저항을 지나면서는 전위가 낮아집니다. 즉, 회로를 따라 돌며 전압강하를 모두 더하면 $6V - 4V - 2V = 0V$가 되죠.

 

뭔가 싶겠지만, 사실 조금만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 바퀴 돌았는데 당연히 전위가 제자리로 돌아와야죠. KVL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말은, 비유해보자면 롤러코스터를 타고 같은 지점으로 다시 돌아왔는데 처음과 끝의 고도가 다른 것입니다. 말이 안 되는 상황이죠.


이렇게 키르히호프 법칙 KCL, KVL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지난 RC회로 편에서도 KVL을 사용했으면 조금 더 편했을 것입니다. 이 글을 먼저 쓸 걸 그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