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딥러닝
- auto-encoder
- 델
- 파이썬
- 최단 경로
- Asteroid RL
- 벡터해석
- 선적분
- 자료형
- java
- 소행성
- 피보나치 수열
- Python
- 회로이론
- 함수
- 자바
- 코드업
- 이진탐색트리
- dictionary
- 백트래킹
- 2P1L
- 계단 오르기
- BST
- 미분 방정식
- 벡터 해석
- cURL
- Class
- 신경망
- 딕셔너리
- 강화학습
Archives
- Today
- Total
Zeta Oph's Study
[Asteroid RL] 프로젝트 소개 본문
언젠가 천문학과 인공지능을 융합해보고 싶었습니다.
문득 멍 때리다가,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태양계 소천체 분야와 강화학습을 융합할 주제가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Asteroid RL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지구는 둥그렇습니다.
예.
지구는 자신의 형태를 구형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소행성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소행성들은 크기가 작아서, 구형을 유지할만큼 중력이 충분히 강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죄다 울퉁불퉁하게 생겼습니다. 죄다 감자처럼 생겼죠.
이러한 소행성의 특성은 재밌게 이용될 수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소행성의 광도 곡선을 통한 형태 결정이죠.
소행성이 받는 태양빛의 양이 일정하다고 하더라도, 소행성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반사하는 태양빛의 양은 달라집니다. 즉, 소행성이 자전을 함에 따라 소행성의 밝기가 시시각각 변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소행성의 광도 곡선을 통해 소행성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소행성의 광도곡선을 통해 소행성의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수행해보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적입니다.
음... 될 지는 몰라요
그래도 재밌을 것 같으니까 속는 셈치고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 연구 > Asteroid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teroid AI] Asteroid Modeling : Basic Structure (3) | 2024.10.26 |
---|---|
[Asteroid RL] 배경 이론 - 람베르트 코사인 법칙, 구면 좌표계 (1) | 2023.10.01 |